Challenge/OSSCA 3

[OSSCA] PyTorch Korean Localization 2-3주차 후기

간만에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리뷰를 남기겠습니다. 2주차 - 추석 연휴 : 오탈자 PR + 용어집 추가2주차는 추석 연휴라서 모든 일정을 텍스트로 진행했습니다. 파이토치 튜토리얼 한글화 프로젝트의 2주차는 용어집에 추가할 단어를 선정하고 기존 번역된 문서에서 오탈자를 찾아서 이슈와 PR을 올리는 것이었습니다. 2주차에서 각 조별 이슈사항을 종합해보았습니다. 일단 조원분들께서 오탈자 수정 및 용어 추가를 잘 해주셨습니다. 하면서 이슈 사항은 크게 없었고, 하나 궁금한 점은 용어 추가를 하는 과정이 뭔가 모호하게 느껴져서 용어 추가하는 과정에 대한 큰 그림을 알고 싶습니다. 저와 **님만 용어 추가 및 번역 개선 과제를 수행했고, 서로 번역 개선 PR 리뷰 진행했습니다. 아래는 질문 사항입니다.1...

Challenge/OSSCA 2025.10.16

[OSSCA] PyTorch Korean Localization 2주차

2주차는 샘플 번역을 수행했습니다. * 샘플 번역조별로 할당된 폴더 내에서 원하는 영문 파일 선택하기1조 - advanced 2조 - beginner 3조 - intermediate 4조 - recipes- 해당 파일 번역에 대한 이슈 생성하기- 3~5줄 정도 번역하고 PR 생성하기- 조별 디스코드방에 업로드 후 조원 2명에게 PR 리뷰 댓글 달기 아래 내용을 번역하였고, 저장했습니다. 이 상태에서, index.html 파일에는 적용이 되지 않았습니다. 찾아본 결과로는 .rst 파일을 수정하면, make 명령어로 빌드를 수행하고 다시 확인해봐야한다고 합니다. 빌드를 수행합니다. 일부 번역이 되었고, 이제 본격적으로 영어 부분을 모두 제거하고, 저장했습니다.이 상태에서 다시 빌드를 수행합니다. 이 상..

Challenge/OSSCA 2025.09.24

[OSSCA] PyTorch Korean Localization 1주차

OSSCA는 오픈소스 컨트리뷰트 아카데미 프로그램입니다. 1주차에 발대식을 시작했습니다. 오픈소스에 기여해보고자 체험형으로 신청하여 발탁되었습니다. Git 활용 및 PyTorch 문서 한글화사전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주어진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Fork를 하고, 그 링크를 가지고 클론합니다. 그 다음에 해당 문서로 들어가서 내부 정보를 확인합니다. 가상환경 생성하기가장 쉽게 만드는 방법은 `venv`를 활용하는 것입니다.python -m venv osscaenv python 3.3 이상에서는 기본 설치가 되어있다고 하니, 바로 실행해보겠습니다.osscaenv 라는 이름으로 설정하였습니다. requirements-minimal.txt 파일을 설치했습니다.make html-noplot으로 빌드를 하는데..

Challenge/OSSCA 2025.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