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습니다. 기다리고 기다리던, 챗봇 만들기 시간입니다.
[목차 상세]
03장 오픈AI의 API로 챗봇 만들기
_03-1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알아보기
__[Do it! 실습] GPT에게 역할 부여하기
__[Do it! 실습] 원샷 프롬프팅과 퓨샷 프롬프팅 적용하기
여기까지 작업해보겠습니다.
챗봇에 앞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알아보고,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어제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openai 버전을 맞추어야 gpt-4o가 될 것 같은 합리적인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일단 가상환경을 하나 더 만들어주겠습니다. doit2로 만듭니다.
pip install openai==1.58.1
설치가 완료되고, 마저 진행해보겠습니다.
1. 마법 거울
"오, 나의 주인이시여, 오랜 세월 동안 이 질문을 받아왔습니다. 백설공주, 그 순수한 마음과 아름다움으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로 꼽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억해 주세요, 아름다움은 외적인 것뿐만 아니라 내적인 것이기도 하답니다."
한번 더 해보겠습니다.
"오, 여왕님,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는 백설공주랍니다. 그녀의 아름다움은 숲 속의 아침 햇살처럼 맑고 순수하지요."
2. 배트맨 속 조커
"당신은 배트맨에 나오는 조커, 조커의 악당 캐릭터에 맞게 답변해주세요."
자 답변을 확인합니다.
"아하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이라... 그 정답을 찾으려는 노력 자체가 진정한 아름다움이지 않을까? 사람마다 아름다움의 기준이 다르니까, 각자 자신의 방식대로 미를 찾고 즐기면 되는 거야. 단지 꼭 기억해야 할 건, 때때로 혼돈 속에서도 아름다움이 있다는 거지! 아하하하!"
웃음이 많은 친구네요. 한번 더 갑니다.
이제 영어까지 써줍니다. 역시 조커는 외국 사람이에요.
"아하하! 세상에서 정말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이라... 그런 걸 누가 판단할 수 있을까요? 모두가 속고 있는 세상에서 아름다움의 기준도 광기의 한 조각 아닐까요? 누군가에겐 웃음을 주며 화려하게 무너지는 그 모습이야말로 가장 아름다울지도 몰라요. 배트맨조차 눈을 떼지 못하는 혼돈, 그게 정말 아름답지 않나요? Remember, madness is the true beauty, my friend! 아하하하!"
원샷 프롬프팅과 퓨샷 프롬프팅
예제 없이 질문하는 것은 제로샷, 예제를 하나 넣어서 질문 하는 것이 원샷, 예제 두개 이상 넣어 질문 하는 것은 퓨샷 프롬프팅이라고 합니다. 실습해보겠습니다.
1. 제로샷
제로샷에 대한 답변입니다.
"꽥꽥! 오리는 예쁜 새야. 물에 둥둥 잘 떠 다니고, 귀여운 아기 오리들도 있어! 오리 빵 먹는 거 좋아해! 🦆🍞"
이모지까지 잘 써주었네요.

팁: GPT는 이모지를 잘 씁니다.
2. 원샷
messages=[
{"role": "system", "content": "너는 유치원생이고, 유치원생처럼 답변해줘."},
{"role": "user", "content": "참새"},
{"role": "assistant", "content": "짹짹"},
{"role": "user", "content": "오리"}
]
이렇게 예시를 하나 추가합니다.
이제야 비로소 "꽥꽥!" 이라는 답변만 나오네요. 예시를 넣는 프롬프트, 자주 사용하는 것이 꿀팁입니다.

3. 퓨샷
예시를 여러개 넣어주고, 뱀이 내는 소리를 묻습니다.
messages=[
{"role": "system", "content": "너는 유치원생이고, 유치원생처럼 답변해줘."},
{"role": "user", "content": "참새"},
{"role": "assistant", "content": "짹짹"},
{"role": "user", "content": "말"},
{"role": "assistant", "content": "히이잉"},
{"role": "user", "content": "개구리"},
{"role": "assistant", "content": "개굴개굴"},
{"role": "user", "content": "뱀"}
]
예상은 '스스스!' 이런 식으로 나오면 됩니다.
"سسسس~~"
저런, 애석하게도 뱀 모양을 그려주네요. 한번 더 해주겠습니다.
"스르르~" 이 정도면 나쁘지 않습니다.
책에서 시도했던 개미도 한번 해보겠습니다. 개미는 어떻게 울까요?
"개미는 아주 작아요! 땅에서 열심히 일해요! 🐜"
"부지런히 일해요! 🐜"
네, 이것이 GPT-4o의 한계네요. 사실 답이 없긴 합니다. 개미 소리를 들은 사람이 있을까요?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Challenge > Inf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 It LLM] 챌린지 기록 1주차: 오픈AI API 챗봇(2) (0) | 2025.09.26 |
---|---|
[클로드코드] 챌린지 기록 1주차 5일 - 고양이 웹페이지 (0) | 2025.09.26 |
[클로드코드] 챌린지 기록 1주차 4일 - 디렉터리 분석 (0) | 2025.09.25 |
[Do It LLM] 챌린지 기록 1주차: GPT API 시작 (1) | 2025.09.24 |
[클로드코드] 챌린지 기록 1주차 3일 - 내 컴퓨터 분석 (0) | 2025.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