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드 md(마크다운) 파일을 통해 클로드 코드를 설정합니다. 교재에서는 개발자처럼 일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지침서라고 표현합니다.
클로드 코드 핵심이 되는 이 마크다운 파일, /init 명령어를 활용해서 설정합니다.
CLAUDE.md
자동으로 프로젝트 맥락을 포함하고, 코딩 스타일과 규칙을 저장하고, 세션이 끝나도 메모리가 유지되고, 계층적인 구조로 여러 파일을 조합해서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init 명령어
이 명령어로, 현재 디렉터리를 분석하고, 프로젝트에 맞는 CLAUDE.md 파일을 생성합니다. 온보딩 가이드를 만들어주네요.
실제 프로젝트로 실습해봅니다. 교재에서 진행한 것처럼 '간단한' 리액트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npx create-react-app my-react-app 명령어로 리액트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npx create-react-app my-react-app
생성하고, cd my-react-app 으로 프로젝트 경로로 들어갑니다. 단, 실행하지 않고, 여기서 claude를 불러옵니다.
CLAUDE.md 파일을 만들거냐고 묻는데, yes로 눌러서 진행합니다. 아래와 같이 작성이 됩니다.
이제 같은 방법으로, Express.js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이게 백엔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이제, 클로드 코드에서 /init 명령을 바로 실행합니다.
claude /init
작성된 CLAUDE.md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액트와 Express 모두 /init으로 각 맥락에 맞는 가이드 문서를 제공해줍니다. 알아서, 잘, 딱, 깔끔하고 센스있네요?
CLAUDE.md 커스텀
내 의도를 잘 반영하려면, 수동으로 고치거나 클로드 코드에게 고쳐달라고 프롬프트에 넣어 요청합니다.
원하는 경로로 들어가서, claude를 실행하고, "이 프로젝트에 적합한 CLAUDE.md 파일 만들어줘"로 실행하면 됩니다.
그 후에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그 부분을 위주로 고치면 되겠죠?
CLAUDE.md 파일을 팀과 개인 구분하여 사용하기
메모리 스코프라는 개념을 활용합니다. 정리하면, 개인용 맥락은 User Scope, 팀 전체 공용은 Project Scope에서 가져오는 것이 좋습니다.
프롬프트 작성 원칙은 간결하고, 선언적 형태로, 토큰을 아끼고, 실시간 업데이트로 주기적인 개선을 진행합니다. 5가지 필수 포함할 요소가 있습니다.
1. 기술 스택
2. 프로젝트 구조
3. 핵심 명령어
4. 코딩 스타일
5. 저장소 규칙
CLAUDE.md 응용 고급 팁

계층적으로 사용하세요. 영역별로 디렉터리를 나누고, 전체적으로 CLAUDE.md 파일을 두고, 각 서브 디렉터리(프론트엔드, 백엔드, 문서 등)마다 하나씩 CLAUDE.md 파일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적 CLAUDE.me 관리해주세요. 한 번 작성하고 끝내지 말고, 진행률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야합니다. 각 단계별 현재 상태와 우선순위를 반영해주면 더 활용하기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팀 단위 프로젝트에서 협업을 위해 사용하세요. CLAUDE.md에 코드 리뷰 규칙, 팀 역할 등을 명확히 해주면, 신규 직원이 오더라도 신속한 온보딩과 기존 팀원도 참고하기 좋은 훌륭한 인수인계 자료가 됩니다!!
CLAUDE.md 활용 전략
프로젝트별로 맞춤 설정을 합니다. 프로젝트가 기업과 계약하는 경우 상황과 일정을 조정하고, 개인 학습은 도전적인 시도와 품질 향상이 메인이 되어 작성해주면 됩니다. 팀 단위에서는 역할, 코드 리뷰 규칙, 협업 기준을 모두 담아둡니다. 신규 직원 온보딩 등에 좋고, 프로젝트 전체 품질,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토큰 효율성을 높이려면, 핵심 정보만 정리해서 클로드에게 물어보세요. 답변도 짧게 나와서 토큰을 아낄 수 있습니다.
<비효율적 토큰 사용>
이 프로젝트는 Python을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을 하고, Streamlit으로 시각화를 합니다.
<효율적 토큰 사용>
# Tech Stack
- Python 3.12 + Streamlit
자동 업데이트 워크플로
지속적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면, 이러한 상황을 클로드에게 알려줘서 반영시켜야합니다. 기술 스택이 바뀌거나 새 팀원이 오면 넣어줄 문서를 CLAUDE.md에 추가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네요.
그 외 문제 해결과 팁을 살펴봅니다.
- 팀원마다 다른 설정 사용?
- 개인별 설정 파일을 .gitignore에 두고 CLAUDE.md가 이를 참고하게끔 구성합니다.
- 아까 보셨던 개인별 User Scope의 .md 파일(~/.claude/CLAUDE.md)을 활용하면, 개인과 팀(프로젝트 경로)이 섞이지 않습니다. 경로가 완전히 달라지니까요.
이렇게 CLAUDE.md 파일을 만들어보고, 각 프로젝트별로 생성하고 업데이트해보았습니다. 나아가 팀과 개인을 나누어 볼 수 있도록 여러 계층으로 이 md 파일을 만들어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Challenge > Inf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로드 코드] 챌린지 2주차 - 프롬프트 작성 (0) | 2025.10.01 |
---|---|
[Do it LLM] 챌린지 2주차 - 오픈 AI GPT API 활용한 업무 자동화 (1) | 2025.09.29 |
[Do It LLM] 챌린지 기록 1주차: 스트림릿 챗봇 (0) | 2025.09.28 |
[Do It LLM] 챌린지 기록 1주차: 오픈AI API 챗봇(2) (0) | 2025.09.26 |
[클로드코드] 챌린지 기록 1주차 5일 - 고양이 웹페이지 (0)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