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탐지의 필요성 보안(Securi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많은 콘텐츠들이 디지털화되고, 해킹에 대한 위험도 함께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0년도 경험한 침해사고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보호실태조사」, 2020, 2023.08.06, 침해사고 경험 유형 그 결과 랜섬웨어가 약 47%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악성코드(컴퓨터 바이러스, 웜, 트로이잔, APT공격 등)에 의한 공격이 41.7%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어느정도 악성코드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겠죠? 이와 관련하여 간단히 File Safer라는 상품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ile Safer 소개 먼저 File Safer 상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일의 악성코드 여부를 쉽고 간편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