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loud 31

[Ncloud] S3 Browser로 두 계정의 bucket to bucket 파일 전송

제목을 항상 고민합니다. 다른 계정의 bucket으로 본인 bucket에 있는 파일을 전송한다는 것을 짧게 표현하기 어렵네요. S3 Browser S3 browser는 훌륭한 오픈소스 도구입니다. AWS S3라는 스토리지 서비스를 타겟으로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 AWS S3와 호환되는 endpoint를 제공하고 있어서, 그대로 활용하기 좋아서 공식 블로그에서도 이 s3 browser 도구 사용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도 합니다. 공인 교육에도 사용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s3browser.com 네이버클라우드의 S3 Browser 활용 사례 공식 블로그에서는, Object Storage와 S3 Browser 연동방법을 소..

[Ncloud] Rclone으로 다른 계정의 bucket에 파일 전송해보기

네이버클라우드는 Object storage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버킷을 생성하고, 파일을 업로드하는 저장 공간입니다.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다른 사용자가 가진 버킷의 파일을, 내 버킷으로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NCUC에도 문의를 해보고, 네이버클라우드에도 문의를 해봤습니다. 멀티프로파일 설정이 문제가 있어 aws s3 sync 명령어로는 다른 계정의 버킷으로 전송이 어렵다는 의견을 받았습니다. 그 외에도 로컬에 직접 내려받고, 다시 다른 계정으로 업로드를 해야한다는 의견을 주셨습니다. 네이버클라우드의 문의하기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ncloud.com/support/faq/prod/2883 내용을 잠깐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활용해보면 좋다고 합니다..

HyperCLOVA-X와 함께하는 Healthcare Mini Promptathon 후기

참가 신청 11월 17일 금요일, 일원역 삼성생명빌딩에서 진행한 제1회 생성모델연구회의 헬스케어 미니 프롬타톤에 참여했습니다. 그 후기를 작성해보았습니다. 신청 종료 후, 11월 10일에 메일이 도착합니다. 사전에 학습이 가능한 자료를 제공해주었습니다. 메일에 있는 페이지로 가보니, 간단히 한 가상의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줍니다. 현재 공개된 CLOVA-X를 통해 초진 기록을 작성해볼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2023년 11월 21일 기준 현재 위 페이지는 접근이 안됩니다.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HyperCLOVA에서 필요한 다양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가이드와, 공개된 사이트를 제공해주었습니다. 시나리오는 다른 증상을 가진 3명의 가상 환자가 응급실에 동시에 도착했을 때, 환자들의 내..

세미나 후기 2023.11.21

NAVER Cloud Platform Certified Expert (NCE) 시험 후기 및 조언

올해 10월 27일자로 NCE를 취득했습니다. 후기와 다양한 과목별 조언을 담아 글을 작성합니다. 준비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취득 이유 모든 네이버 클라우드의 자격증을 따버리겠다는 일념으로 도전했습니다. 아래는 해당 색칠 놀이의 결과로, NCA, NCP, NCE를 모두 취득했다는 표시입니다. 다채로워서 보기 좋습니다. 사실 그렇게까지 욕심이 나지는 않았지만, 지난번 NCA 취득을 해보니 아쉬웠습니다. 이대로 멈추면 후회할 것 같아서 끝까지 도전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모든 자격 시험을 치를 때, 항상 후기를 늘 참고하는 편입니다. 구글에 NCE 후기 입력하면 나오는 첫번째 글을 보았습니다. Master 김수현님의 후기입니다. https://manvscloud.com/?p=181..

[Ncloud] 이달의 Nclouder 주인공 최초 2회 선정 후기

들어가며 올해 네이버 클라우드를 사용하면서 정성껏 작성한 게시물들이 있습니다. 모든 시작은 이달의 Nclouder라는 네이버 클라우드 기술 콘텐츠 리워드 프로그램이었습니다. 본 Nclouder 프로그램이 시작한 5월에 교육 훈련 중에 배운 리눅스와 관련해서, 네이버클라우드로 나만의 리눅스 서버를 만드는 내용을 정리했던 것부터 시작해서 여기까지 왔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5월과 9월 최초 2회 "이달의 NCLOUDER"로 선정되었습니다. 지원 동기 올해 초에, S 병원에서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가로 일하다가 그만두고, 클라우드와 관련된 웹개발 교육을 수강하고 있었고, 앞으로의 커리어 변경과 관련하여 고민이 많았던 시기였습니다. 그 와중에 웹개발 교육 과정에서 네이버 클라우드를 사용해보는 기회를 얻었습니..

[Ncloud] Web Security Checker로 내 웹사이트 종합 관리해보기

이번에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건당 비용이 가장 비싸다고(건당 40만원, 재진단 2회 무료) 생각하는, Web Security Checker 서비스를 사용해보겠습니다. 빠르고 효과적인 검사가 가능하고, 취약점 잘 잡고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근데 로고가 왜 App Safer 로고인지 모르겠네요. 수정하길 바랍니다. 상품 이용 신청을 눌러보겠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진단 시 주의할 내용을 약관 밑에 표기한 점입니다. 해당 사례가 실제로 있다는 뜻이고 숙지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동의를 하면 진단 작업을 생성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눌러보겠습니다. 대상 정보를 입력합니다. 제가 만든 웹 사이트 URL을 대상 정보로 입력합니다. 소유 여부를 확인합니다. 포트번호까지 입력해야 될지 모르..

[Ncloud] Data Forest로 Jupyter Lab 접속해보기

오랜만에,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서비스를 살펴봤습니다. 나름대로 분석을 하지만 주로 small data 위주로 진행했고 클라우드를 사용한 적이 거의 없다보니 이런 서비스가 반갑기만 합니다. 무언가 답을 찾는 과정은 다양하게 접근해봐야하지 않겠습니까? 그 수단 중 하나가 클라우드 서비스 인 것입니다. 간단히 가이드부터 읽어보겠습니다. Ncloud 서비스를 살펴보면서, AI Forest라는 게 있다고 하길래 궁금했습니다. 그런데 찾아보니, Data Forest만 있고 그 하위 목록에 AI Forest라는 게 있더군요. 그래서 이 Data Forest 서비스 부터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Data Forest VPC 환경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기억해둡시다. Data Forest는 Apache Hadoop ..

[Ncloud] LiveStation과 함께하는 라이브 방송국 만들기

과거 연예인이 방송에 나오면, 언젠가 나도 멋지게 꾸며서 방송에 나오고 싶다. 이런 꿈 한번 꿔본 적 있으신가요? 이번에는 그 꿈에 한발짝 다가서는 콘텐츠로 마련해보았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라이브 스테이션(Live Station) 서비스와 함께라면 가능합니다. 이 서비스에 바로 진입하기에는 생각보다 약간 어려움이 따릅니다. 그러나 본 글을 천천히 읽어보시면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라이브 방송 라이브 방송이 무엇인지, 8월 24일 등장한 CLOVA X(베타)에게 질문했습니다. CLOVA X 무한한 가능성을 여는 새로운 대화의 시작 clova-x.naver.com 촬영과 동시에 방영하는 방송이라고 합니다. 라방, 실방 등으로 부른다고 하네요. 보통 라이브 방송, 혹은 실시간 방송이라고..

[Ncloud] File filter API로 악성코드 정밀 검사해보기 in File Safer

File filter라는 것이 있습니다. 파일을 첨부하면, 해당 파일을 검사해서 악성코드 포함 여부를 확인해서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Hash Filter보다 좀 더 정밀하게 파일을 통째로 검사하는 기능으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지난 글에서는 웹 콘솔로 검사를 했는데, API로도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참고로 개발 가이드에는 File filter에 대한 시나리오도 있습니다. https://guide.ncloud-docs.com/docs/filesafer-programming-file File Filter 개발 guide.ncloud-docs.com 시나리오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두 가지 API를 통해 파일을 검사를 요청(POST)하고, 그 검사 결과를 받아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에 따라 사용..

[Ncloud] Hash Filter API로 내 파일 간단 검사해보기 in File Safer

지난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API를 사용해서 File Safer 중 Hash Filter를 수행해보겠습니다. API를 사용하려면, 당연하게도 api 가이드를 참고해야 합니다. 가이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제가 살펴볼 부분은 checkHash API 하나입니다. https://api.ncloud-docs.com/docs/security-filesafer-checkhash checkHash (Hash Filter) api.ncloud-docs.com File Safer의 Hash Filter에서 제공하는 기능이라고 설명하고, Hash 값으로 악성여부 확인하는 API라고 합니다. 오타 chechHash가 있네요. 차후 개선하겠죠? 이 API에는 호출을 위해서 5가지 헤더와, 2가지 파라미터가 필요합니다. P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