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loud 31

[Spring Boot & React] DB서버를 Object Storage로 변경하기

Object Storage 네이버 클라우드에는 object storage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인터넷상에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객체 스토리지 해당 서비스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네이버 클라우드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https://www.ncloud.com/product/storage/objectStorage NAVER CLOUD PLATFORM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corporations, IaaS, PaaS, SaaS, with Global region and Security Technology Certification www.ncloud.com 로컬 DB에서 ..

[Jenkins] 젠킨스 설정하기(2)

젠킨스 실습 이전 글을 기초로, 실습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서버를 생성하고, 다시 접속하여 도커 설치를 끝낸 뒤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서 진행하신 뒤에 실습 진행하시면 됩니다. https://graph-dev.tistory.com/74 [Docker] 도커로 앱 배포하기 (1) with Ncloud 리눅스 서버 생성 이번에는 설치부터 배포까지 실습해보겠습니다. 먼저 리눅스 서버(ubuntu)를 생성해두고 시작하시면 됩니다. 필요한 경우, 제가 작성한 글을 참고하셔서 서버를 생성하는 것부 graph-dev.tistory.com 젠킨스와 게시판 서버 연동을 위한 시나리오를 다시 한번 확인해보고 진행하겠습니다. 먼저 서버를 두 개 생성합니다. 저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해서 ..

[Docker] 도커로 앱 배포하기 (1) with Ncloud

리눅스 서버 생성 이번에는 설치부터 배포까지 실습해보겠습니다. 먼저 리눅스 서버(ubuntu)를 생성해두고 시작하시면 됩니다. 필요한 경우, 제가 작성한 글을 참고하셔서 서버를 생성하는 것부터 진행하시면 됩니다. https://graph-dev.tistory.com/41 [Ncloud] 나만의 리눅스 서버 만들기 네이버 클라우드로 Linux 서버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리눅스에 대해 먼저 살펴봐야겠죠? Linux: "Just For Fun!" 재미로 시작한 리눅스 리눅스는 헬싱키 대학 리누스 토발즈가 만들었습니다. 당시 자율 graph-dev.tistory.com 다만 위 글은 Classic 기준으로 이번에 작성하는 글은 VPC(Virtual Private Cloud)를 기반으로한 서버를 생성하여 수행합니다..

[Ncloud] File Safer로 내 파일 악성코드 잡아내기

악성코드 탐지의 필요성 보안(Securi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많은 콘텐츠들이 디지털화되고, 해킹에 대한 위험도 함께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0년도 경험한 침해사고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보호실태조사」, 2020, 2023.08.06, 침해사고 경험 유형 그 결과 랜섬웨어가 약 47%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악성코드(컴퓨터 바이러스, 웜, 트로이잔, APT공격 등)에 의한 공격이 41.7%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어느정도 악성코드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겠죠? 이와 관련하여 간단히 File Safer라는 상품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ile Safer 소개 먼저 File Safer 상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일의 악성코드 여부를 쉽고 간편하게..

[Ncloud] CLOVA Dubbing으로 짧은 영상 만들어보기

지난번 CLOVA Voice로 목소리를 내었다면, 이번에는 CLOVA Dubbing을 적극 활용해보겠습니다. 최근 제가 즐겨보는 Youtube Shorts 영상들이 있는데요, 제가 또 요리를 좋아합니다. 그래서 요리 영상을 보다보면 얼굴이 공개되지 않은 채로, 요리만 하면서 자막을 입히거나 합성된 목소리를 활용해서 간단한 대화(꽁트)를 진행하는 영상이 많습니다. 간단한 예로 1분 요리 뚝딱이형이라는 채널의 1300만건 조회수를 가진 영상을 한번 보겠습니다. 뚝딱이 형이라는 목소리와 잼민이 목소리를 합성 목소리로 활용해서 다양한 대화를 주고받고 자막으로 간단히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면 거의 요리만 진행하는 영상입니다. 굳이 소개하는 것은 이러한 컨셉을 생각한다면 TTS를 활용한 컨텐츠도 어느정도 경쟁력이 있..

[Ncloud] 재밌는 목소리 내어보자 with CLOVA Voice

최근 짧은 길이의 영상에서 목소리 위주로 시나리오를 만들어서 올린 것을 많이 봅니다. 즉, 관련해서 다양한 인공지능 목소리 서비스들이 있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거죠. 과거 이러한 목소리는 개인 스트리밍 방송에서 후원할 때 목소리 채팅을 활용해서 돈을 일정 지불하고 방송에서 틀어주는 방향으로 진행했다면, 현재는 이것과 함께 아예 이러한 목소리들을 적극 활용해서 영상을 만들기도 합니다. 영상에 목소리만 입히거나, 조금 더 수고롭게 자막을 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글자를 입력했을 때, 원하는 목소리로 출력해주는 TTS(Text to Speech) 서비스를 간단히 알아보기로 하고,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TTS TTS는 텍스트 음성 변환, text-to-speech라고 합니다. 작성한 텍스..

[NCUC] 첫번째 판교 소모임 후기

네이버클라우드 1회 판교 소모임에 참여하게되었다. 장소는 판교 테크원 빌딩이다. 생각보다 사람이 많이왔고 다양한 사람들이 있어 각 분야별로 초점을 어떻게 맞춰서 진행할 지 궁금했다. 크게 2개로 나누어 진행했다. 모든 구성원의 자기소개를 바탕으로, Ncloud 서비스에 대한 강의 1부, 네트워킹 2부로 나누어 진행했다. 강의는 네이버클라우드 소개와 간단한 Terraform으로 시작하는 네이버클라우드 실습으로 구성했다. 관련하여 사이트를 정리했다. 이 사이트를 보면서 네이버 클라우드가 콘솔 뿐만 아니라 Terraform이라는 도구로도 네이버 클라우드에 접속하여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다. 먼저, Ncloud Provider라는 오픈소스 시스템이 있다. https://registry.terraform.io/p..

세미나 후기 2023.07.26

[Ncloud] Global DNS로 리눅스 서버 접속하기

전편에 이어서, 간단하게 도메인 주소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는 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또한, 여기서 네이버클라우드 Global DNS 서비스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먼저 Global DNS 가이드에 따라, 다른 도메인 등록 업체에서 도메인 주소를 얻어와야 합니다. (https://guide.ncloud-docs.com/docs/ko/networking-networking-12-1)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우선, URL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여기서 자세히 봐야할 부분은 도메인 주소이고, 그 앞에 호스트명(Host Name)이 있습니다. 도메인 주소는 예시에서 domain.com이 되고, 이 때, com은 가장 상위 도메인(Top Level Dom..

[Ncloud] 리눅스 서버 접속하기

기존에 리눅스 서버에 접속한 방식과는 다른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처음에는 공인아이피를 사용해서 접속할 수 있었다면, 이번에는 표준 방법에 해당하는 포트포워딩 방식을 사용해보겠습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공인아이피를 외우지 않아도 좀 더 친숙한 주소(예를 들면, ssh root@domain.com) 값으로 접속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작업에 앞서, 한가지 작업을 수행하면 좋습니다. 먼저 서버 접속 후 id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uid=0이 root 권한을 가진 슈퍼 유저를 보여줍니다. 여기서, ubuntu라는 이름을 가진 사용자를 adduser라는 명령어를 통해 생성합니다. //ubuntu라는 유저를 생성 adduser ubuntu 생성 후 사용자 정보는 /e..

[Ncloud] 나만의 리눅스 서버 만들기

네이버 클라우드로 Linux 서버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리눅스에 대해 먼저 살펴봐야겠죠? Linux: "Just For Fun!" 재미로 시작한 리눅스 리눅스는 헬싱키 대학 리누스 토발즈가 만들었습니다. 당시 자율소프트웨어 재단(FSF)에서 야심차게 내놓은 UNIX 유닉스라는 OS가 있었지만 성능이 안 좋았고 리누스가 재미로 만든 Linux가 좀 더 잘 만들어지고 성능도 더 좋았습니다. 이것을 FSF 재단에 기증했고, 그의 이름을 따서 리눅스가 되었죠. 리눅스는 커널,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리눅스는 다양한 재단에서 자유롭게 배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그에 맞게 다양한 리눅스 파생 OS들이 있죠! Suse, Ubuntu, CentOS, RedHat, AWS Linux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