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1

GUG 6th 세미나(1). 온톨로지 구축과 평가 후기

온톨로지온톨로지는, 세상에 대해 사람들이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일종의 분류, 속성, 개체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분류와 속성에서 시작해서 개체(Entity)로 마무리합니다. 지식그래프(Knowledge Graph)지식을 그래프 형태로 표현한 것입니다. 각 개체 사이의 관계를 연결해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다빈치가 모나리자를 그리고, 모자리나는 루브르박물관에 위치한다.  온톨로지 구축 배경은,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해서, 연결된 '지식그래프'를 만들기 위해 온톨로지를 구축해야 합니다. 초기 온톨로지 구축을 위해서 분류체계를 구축하였다고 합니다. 이게 기존의 분류체계와 다르게, 계층구조 기반으로 체계쩍인 분류체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온톨로지 구축 연구로는, 수동 구축, 말뭉치 ..

Graph 2025.01.12

네이버클라우드 서버와 VSCODE 연동: Python

오늘은, VSCODE라는 IDE 도구(Windows 기준)와 네이버클라우드의 리눅스 서버를 간단하게 연동해보겠습니다.  준비물1. VSCODE2. Ncloud 네이버클라우드 계정  1. VSCODE 설치VSCODE 소프트웨어를 설치합니다. https://code.visualstudio.com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Visual Studio Code redefines AI-powered coding with GitHub Copilot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

[회고] 2024년 엔지니어 회고

"오늘은 귀여운 고양이를 가져왔습니다." 24년은 개발,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혼자 고민했던 한 해였습니다. 임상 연구원으로 시작했던, 23년에는 개발자 교육 과정을 들으면서 개발자의 꿈을 품어보았습니다. 다만, 현실은 그렇게 좋지 않았습니다. 개발자 자체에 대한 수요가 어느 순간 감소한 것입니다. 코로나 시절이 개발자 채용이 더 많았다고 하니, 24년부터는 빙하기에 가까워진 채용 시장이었습니다. 다만 부트캠프에서 클라우드를 배우고 있으니, 클라우드 엔지니어를 알아보았고, 비록 경력은 없지만 간신히 면접을 통해 입사할 수 있었습니다.  리눅스를 공부해야 하는구나!  개발을 안 한다면, 최소한 서버를 만들고 배포하고, 네트워크 구조를 확인해서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할 수는 있어야 합니다. 온프렘과 함께 ..

일기장 2025.01.06

[가짜연구소] 3D-LLM 이야기

3D에 집중하는 LLM가 있습니다. 가짜연구소 초조한 전망대에서 이야기를 듣다가 이거 정리하면 좋겠는데? 생각으로 하나씩 꺼내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주제는, "에너지 효율화" 입니다. 인류의 에너지는 유한하다고 합니다. GPU 자원이 AI 모델 학습을 위해 거의 필수적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에 모든 돈이 모이는 셈이죠. 경쟁사인 AMD, 아직 조용합니다. 꼭, CUDA 사용을 해야만하는가?에서 시작해서 대안을 찾고자 합니다. 좀 더 저렴한 장비로 효과적으로 인공지능 모델을 돌리자는 의미입니다.

세미나 후기 2025.01.05

[NCUC] 5번째 수도권 남부 소모임 후기

온라인 네이버클라우드 수도권 남부 소모임 후기 이번에는 온라인으로 개최한 네이버클라우드 사용자 커뮤니티 후기를 업로드합니다. 오프라인 모임이지만, 대설 주의보 날씨로 인해 온라인으로 급하게 전환되었습니다. 조금은 아쉽지만, 오히려 교통 상황을 보니 온라인이 낫겠다 싶었습니다.   총 두가지 세션으로 진행했습니다. 조금 늦게 들어와서 자기 소개는 하지 못했지만, 1부와 2부 발표는 잘 들을 수 있었습니다. 1부는 윤서율님의 발표로, " 네이버 클라우드 무료로 사용하며 공모전 참가하기" 라는 제목으로 들었습니다. 2부는 " HyperCLOVA X로 페르소나 학습용 데이터셋 만들기"라는 주제로 두 가지 모두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1. 네이버클라우드 무료로 사용?민 관 협력 플랫폼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요건만..

세미나 후기 2024.11.30

[가짜연구소] 1st Grand Gathering 참여 후기

기존에는 수도콘으로 진행했던 가짜연구소의 스터디와 프로젝트 공유회에 참여했었고, 이번에는 새롭게 단장한 그랜드 게더링! 함께 모이는 행사에 참여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재미있는 행사였습니다. 저는 의 부스 운영진 및 러너로 참여하였습니다. 공간이 아주 크지는 않지만, 작은 공간도 알차게 보낼 수 있어서 유익했습니다. 이그나이트 Talk 세션이 사뭇 새롭게 보이네요. 누구든지 나와서 말할 수 있는 자리입니다. 선언하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죠. 앞으로 내가 이렇게 활동할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그것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면, 멋진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강의 중에 "성장을 멈추게 하는 불편한 상황을 멈춘다." 라는 말이 기억에 남습니다. 가짜연구소가 지향하는 '성장'이란, 가끔씩 다시 들어봐도 방..

세미나 후기 2024.11.24

생성형 AI 이야기: 용어를 정리해보자

생성형 AI, 인공지능이 인기 있습니다. 근데 용어는 여전히 어렵게만 느껴집니다. 잘 정리해서 내 것으로 만들어보겠습니다.  1. 프롬프트: 모델에 입력할 모든 것입니다. 1) Instruction : 모델에 넣을 텍스트로, 모델이 수행할 모든 과제를 설명합니다.ex) "답변을 하나의 문장으로 해라."- 지시는 구체적으로 할 수록, 멋지게 답변합니다. 2) context 맥락 : 관련된 정보나 디테일입니다.- 예시의 수에 따라, 원샷, 퓨샷 추론으로 부릅니다.- 예시에 따른 학습 방식을 "in-context 학습"이라고도 부릅니다. 콘텍스트 윈도우 : 토큰의 수로 볼 수 있습니다. 고정된 사이즈를 가지는데, 512부터 10만 토큰까지 모델마다 다양해요.망각 : 길고 긴 문장을 모두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일기장 2024.11.17

[GUG] 여섯번째 세미나 <온톨로지> 후기(1)

GUG, 그래프 사용자 그룹에서 세미나를 열었습니다. 주제는 로 다섯 명의 연사분을 모시고 진행하였습니다. 패널토의와 함께 멋진 세션으로 좋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실질적으론 GraphRAG, Ontology가 OR로 각 연사자마다 선택해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데보션이라는 SK 기술 커뮤니티에서 장소를 제공해주셨습니다. 오프닝은 이 세미나의 큰 주제인 온톨로지에 대한 소개로, 그 개념과 실제 사례를 살짝 언급해주셨습니다. 온톨로지의 대표 기업이라 할 수 있는 팔란티어(palantir) 라는 업체에 대해 소개해주셨습니다. 데이터만 준다면 팔란티어는 온톨로지로 만들어준다고 하며, K-LLMs를 자랑합니다. 시장에서도 이 온톨로지 기업이 요구가 많았는지, 주가를 통해 가볍게 살펴보았습니다. 확실히 많이 올..

Graph 2024.11.16

[Terraform] Ncloud Server 생성하기

Terraform 설치Rocky Linux는 테라폼 홈페이지에서, 아마존 리눅스로 설치합니다.Install | Terraform | HashiCorp Developer Install | Terraform | HashiCorp DeveloperExplore Terraform product documentation, tutorials, and examples.developer.hashicorp.comsudo yum install -y yum-utils shadow-utilssudo yum-config-manager --add-repo https://rpm.releases.hashicorp.com/AmazonLinux/hashicorp.reposudo yum -y install terraform   terra..

IaC/Terraform 2024.11.15

[Terraform] 테라폼과 네이버클라우드 연동해보기

가장 편한 방법은 코드로 인프라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그 중에 하나가 이 terraform이 됩니다.   리눅스 서버를 하나 생성해둡니다. 이 서버가 일종의 명령 서버가 될 것입니다. provider.tf 파일을 만듭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프로바이더가 되겠습니다.  그 다음은 테라폼을 초기화해줍니다. 문제는 이 terraform 명령어가 바로 안 통한다는 겁니다. 이를 어디서든 접근 가능하도록 만들어줘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간단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ncloud는 repository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면 잘 통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파일 자체를 zip으로 다운로드 받고, 그 압축 파일을 해제한 다음에, 그것을 특정 경로로 이동시키면 됩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했습니다.[이렇게 사용하세요!] 네이버 ..

IaC/Terraform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