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1

[Do It LLM] 챌린지 기록 1주차: 오픈AI API 챗봇(1)

그렇습니다. 기다리고 기다리던, 챗봇 만들기 시간입니다. [목차 상세]03장 오픈AI의 API로 챗봇 만들기_03-1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알아보기__[Do it! 실습] GPT에게 역할 부여하기__[Do it! 실습] 원샷 프롬프팅과 퓨샷 프롬프팅 적용하기 여기까지 작업해보겠습니다. 챗봇에 앞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알아보고,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어제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openai 버전을 맞추어야 gpt-4o가 될 것 같은 합리적인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일단 가상환경을 하나 더 만들어주겠습니다. doit2로 만듭니다. pip install openai==1.58.1 설치가 완료되고, 마저 진행해보겠습니다. 1. 마법 거울 "오, 나의 주인이시여, 오랜 세월 동안 이 질문을 받아왔습니..

Challenge/Inflearn 2025.09.25

[클로드코드] 챌린지 기록 1주차 4일 - 디렉터리 분석

넘겨받은 디렉터리 분석 및 조치:처음보는 디렉터리 전체를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질문을 이어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내용 얻기 이번에는 특정 디렉터리로 들어가서, 이 디렉터리의 목적을 물어보는 실습을 수행했습니다. 1. 디렉터리로 이동 2. 디렉터리의 목적"현재 디렉터리의 목적을 알려주세요" 이것을 그대로 작성해보니, 클로드 코드가 대략적으로 잘 설명해줍니다. 오른쪽은 구체적으로 각 항목을 설명해달라는 결과입니다. 프롬프트를 바꾸기만해도, 각 항목을 잘 설명해주어 편리합니다. 다만 없는 챕터가 있는데, 이것을 물었습니다."ch1이 없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내부에 정보가 없으니, 웹으로 검색합니다. 이론만 있어서 실습 파일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3. 학습 방법과 계획 세우기앞에 제시한 챕터 정보..

Challenge/Inflearn 2025.09.25

[Do It LLM] 챌린지 기록 1주차: GPT API 시작

오픈 AI의 API를 활용하여 LLM을 사용한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https://platform.openai.com/ 최근 홈페이지가 리뉴얼 되면서, 아래 화면과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이후, 빌딩을 시작하고, 조직명에 개인(Personal)을 입력한 후, 조직을 생성했습니다. 이후 API Key 이름도 설정해두었습니다. 초기에는 My Test Key, Default project라고 설정되어 있는데, 이건 내 마음대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후에 나오는 API Key는 Copy버튼으로 따로 보관해둡니다. 이후 웹페이지에서는 다시 확인할 수 없습니다. Python으로 만드는 예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샘플 코드입니다.from openai import OpenAIclient = OpenAI( api_..

Challenge/Inflearn 2025.09.24

[OSSCA] PyTorch Korean Localization 2주차

2주차는 샘플 번역을 수행했습니다. * 샘플 번역조별로 할당된 폴더 내에서 원하는 영문 파일 선택하기1조 - advanced 2조 - beginner 3조 - intermediate 4조 - recipes- 해당 파일 번역에 대한 이슈 생성하기- 3~5줄 정도 번역하고 PR 생성하기- 조별 디스코드방에 업로드 후 조원 2명에게 PR 리뷰 댓글 달기 아래 내용을 번역하였고, 저장했습니다. 이 상태에서, index.html 파일에는 적용이 되지 않았습니다. 찾아본 결과로는 .rst 파일을 수정하면, make 명령어로 빌드를 수행하고 다시 확인해봐야한다고 합니다. 빌드를 수행합니다. 일부 번역이 되었고, 이제 본격적으로 영어 부분을 모두 제거하고, 저장했습니다.이 상태에서 다시 빌드를 수행합니다. 이 상..

Challenge/OSSCA 2025.09.24

[OSSCA] PyTorch Korean Localization 1주차

OSSCA는 오픈소스 컨트리뷰트 아카데미 프로그램입니다. 1주차에 발대식을 시작했습니다. 오픈소스에 기여해보고자 체험형으로 신청하여 발탁되었습니다. Git 활용 및 PyTorch 문서 한글화사전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주어진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Fork를 하고, 그 링크를 가지고 클론합니다. 그 다음에 해당 문서로 들어가서 내부 정보를 확인합니다. 가상환경 생성하기가장 쉽게 만드는 방법은 `venv`를 활용하는 것입니다.python -m venv osscaenv python 3.3 이상에서는 기본 설치가 되어있다고 하니, 바로 실행해보겠습니다.osscaenv 라는 이름으로 설정하였습니다. requirements-minimal.txt 파일을 설치했습니다.make html-noplot으로 빌드를 하는데..

Challenge/OSSCA 2025.09.24

[클로드코드] 챌린지 기록 1주차 3일 - 내 컴퓨터 분석

인공지능으로 내 컴퓨터에만 있는 정보 분석하기 클로드 코드 책을 사서 인프런 챌린지를 진행중입니다. 클로드 코드의 장점 중 하나가 내 컴퓨터 정보를 읽는다는 점이라고 한다. 에이전트가 내 시스템의 정보에 접근한다는 것이 좋기만 한 것은 아니며. 악용한다면 해킹에도 쉽게 이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이 3일차인데, 이제야 적는 이유는 내가 사용하는 랩탑의 정보이므로 저작권 문제에서 가장 자유롭고, 본격적인 클로드 코드를 활용하는 시작이기 때문입니다. 하드웨어 정보 확인경로로 이동해서 클로드를 실행했고, 이제 내가 사용하는 랩탑 정보를 물어보겠습니다. 한글로 물어볼 수 있는게 장점입니다. 현재 클로드 코드는 어느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지, 그 정보를 알려달라고 직접 문의를 했습니다. 1. CPU..

Challenge/Inflearn 2025.09.24

코딩초보자의 GapCheck 도전기(코드트리)

"Python을 활용한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이제 나 자신도 엄청나게 많이 이런 시험을 보고 있고, 그에 맞춰 준비해야할 것도 많아서 막막할 때가 많다. 그러던 중, '코드트리'에서 제공하는 Gap Check 갭체크 콘텐츠가 눈에 들어왔다.https://www.codetree.ai 갭체크는, 말그대로 당신의 코드 작성 실력을 가늠하고, 그에 맞게 문제를 제공하고 풀어보도록 해주는 지표가 된다. 아래와 같이 문제 풀이 결과가 나온다. 2차원 배열에 취약해보인다. 이를 기반으로 챕터 추천도 진행하고 있다. Trail 0부터 10까지 자유롭게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추천받은 것을 적극 활용해본다. 열심히 풀어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기본개념을 볼 수 있고, 문제도 풀 수 있다. 개념과 문제를..

일기장 2025.04.12

DNS: 주소 입력 후 웹 화면 보기

DNS(도메인 네임 서버)의 역할을 고려해서, 사용자가 주소를 입력하여 웹 화면을 보기까지의 과정을 통해 알아보겠다. DNS는 주소창에 특정 주소를 검색했을 때, 해당 주소의 IP를 호출할 때 질의를 날려 확인한다. 1. DNS 조회DNS 서버에 쿼리를 보낸다고 할 수 있다. DNS 캐시에 정보가 있으면 바로 IP 주소를 가져온다. 아니라면, 통신사(ISP) 혹은 DNS 서버에 질의하여 IP 주소를 얻는다. 2. TCP 연결(3-way handshake)웹 브라우저가 DNS로 받은 IP 주소로 연결 요청을 보낸다.TCP 3-way handshake가 이루어진다. SYN(연결요청), SYN-ACK(서버가 요청 수락 및 응답 보냄), ACK(클라이언트가 확인 응답을 보냄)의 과정이다. 3. HTTPS 핸드셰..

일기장 2025.01.22

GSLB 복습1. 언제 사용할까? 특징 정리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GSLB에 대해 지난 글을 보면서, 복기를 해보았습니다. 우연한 계기로 이 기능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개념은 잘 모르는 채로, 이것이 어떤 부하분산을 하는데, 글로벌하게 할 수 있겠다고만 생각했습니다. 로드밸런서의 기능 중 하나 정도로 생각하고, 과거 교육 들을 때 느낌처럼 어떤 이중화와 재해 복구(DR)에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만 기억만 했지, 세부적인 기능은 간과했었네요. 먼저 생성형 AI 의 도움을 받아 GSLB의 주요 기능을 정리 해보았습니다.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는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간의 부하를 분산하고, 최적의 서버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기술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기장 2025.01.16

HCX 격파 도전: 엔지니어링 밋업(1)

이번에 네이버클라우드에서 칼을 갈았다. HCX 상품군 판매에 관해, 파트너사 엔지니어의 역량을 끌어올려보겠다는 야심작! 퇴근 후 파트너사와 함께하는 HCX(HyperCLOVA X) 미팅을 시작했다. 생각보다 HCX 의 로드맵을 공유하면서, 정말 본격적으로 엔지니어의 역량을 키워보겠다는 의지가 느껴진다. 공개할 수 없는 것들은 제외하고, 최대한 네이버 클라우드 현직자 분의 발표 세션 위주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발표 세션만 요약해보았다. 이번에는, HCX를 활용한 Advanced RAG 구현 방안에 대해 발표를 들었다. Advanced RAG는 기존 Naive RAG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향상된 검색 증강 생성 기술이다.  Advanced RAG의 주요 특징과 구성 요소 1. 기본 구조 - Naiv..

일기장 2025.01.13